건강

Td백신과 Tdap백신, 차이가 뭘까?

우당타77 2025. 6. 29. 20:42
728x90
반응형

💉Td백신과 Tdap백신, 그리고 파상풍 예방접종 완전 정복!

얼마전, 산에 다니는걸 좋아하신다며 파상풍 백신을
접종하신다고 오신분, 또 맨발 걷기를 좋아하셔서 역시 백신 접종하신다는 분.. 요즘 종종 파상풍 백신을 접종하러 오시는 분들이 꽤 있습니다.  그래서 준비해보았습니다.  제대로 알고 백신 접종해보자구요💉


1. 파상풍이란 무엇일까?

파상풍(Tetanus)은 아주 무서운 세균 감염병입니다. 상처를 통해 몸에 들어온 클로스트리디움 테타니(Clostridium tetani)라는 세균이 신경을 마비시키는 독소를 만들어내기 때문에, 단순히 상처만 난 것이 아니라 전신 근육 경련과 사망까지 이를 수 있는 중증 질환이에요.

🧨 주요 증상은?
• 턱이 굳는 증상 (lockjaw)
• 근육 경직, 특히 목, 복부, 등 근육
• 호흡 곤란
• 발작
• 심한 경우 호흡근 마비로 사망

🦠 감염 경로는?
• 못에 찔림, 칼에 베임 등 상처
• 녹슨 철, 흙, 거름, 먼지에 오염된 물건
• 외상, 화상, 주사 부위 감염 등

👉 중요한 점은 사람 간 전염은 안 됩니다!
오직 ‘환경 속 세균’이 우리 몸에 들어와 발생하는
병이에요.



2. Td백신과 Tdap백신의 차이점

파상풍 예방접종을 알아보려면 Td와 Tdap 백신의
차이를 먼저 알아야 해요. 이름이 비슷해서 헷갈릴 수 있지만, 포함된 질병과 대상 연령이 달라요.

💡정리하자면
• Td는 파상풍+디프테리아만 예방
→ 기초접종 후 주기적으로 맞는 백신
• Tdap는 거기에 백일해도 추가된 삼총사 백신
→ 특정 상황에만 맞음



3. T, D, a, p 이게 다 뭐야?

이 알파벳들이 헷갈린다면 아래 표로 쉽게 정리해볼게요.

이 중에서 소문자 d, a, p는 약하게 희석된(저용량) 성분이라는 뜻이에요.
그래서 Tdap은 어린이 백신(DTaP)보다 성인에게 적합하도록 용량이 줄어든 것이랍니다.



4. 한 번도 파상풍 백신을 맞지 않은 사람은 어떻게 해야 할까?

이제 진짜 중요한 질문이죠.

Q. “나는 지금까지 파상풍 예방접종을 한 적이 없어요. 지금 접종하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 해요?”

정답은 총 3회 접종입니다!



✅ 기본 접종 스케줄 (처음 접종하는 사람)

💡 Tip
처음 1회는 반드시 Tdap로 접종해요.
  (Tdap은 평생 1번 권장)
• 나머지 2회는 Td로 접종합니다.
• 이후는 10년마다 Td 1회씩 부스터 접종하면 OK!



5. 만약 상처를 입었는데, 파상풍 예방접종 이력이 없다면?

상처가 났을 때는 응급 파상풍 예방이 필요할 수 있어요.

✅ 상처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관리해요.

👉 중요 포인트!
Tdap은 평생 1회만 맞으면 충분하므로,
처음 접종이라면 Tdap부터 시작!
• 상처가 심하거나 감염 위험이 크면 면역글로불린(TIG)을 같이 맞기도 합니다.



6. Td vs Tdap 접종 상황별 선택법

7. 접종 가능한 나이, 장소, 비용은?

💬 나이
• Tdap: 11세 이상 누구나 (임산부 포함)
• Td: 청소년~성인 누구나

🏥 접종 장소
• 보건소 (무료 또는 저렴)
• 병원 예방접종 클리닉

💸 비용
• Tdap: 약 5만원
• Td: 약 3만원
• 일부 보건소 무료 제공 (특히 임산부, 노인)



8. 백신 부작용은?

일반적인 예방접종이므로 대부분 경미한 부작용만
나타납니다.

💡 대부분은 1~2일 내 회복됩니다.
혹시라도 고열, 심한 통증이 있으면 병원 진료를 받으세요.



9. 꼭 맞아야 하나요?

맞습니다. 무조건 맞는 게 좋아요!
• 파상풍은 한 번 걸리면 자연면역이 생기지 않아요.
• 예방접종만이 유일한 방어입니다.
• 농촌, 운동선수, 외부활동 많은 사람은 더더욱 필요!
• 60세 이상 고령자도 접종 권장



10. Tdap 접종이 꼭 필요한 사람
• 임산부: 매 임신마다 27~36주 사이 Tdap 접종
   (태아 보호)
• 영유아 가족: 부모, 조부모 등 신생아 백일해 예방
• 보건 의료 종사자: 병원에서 감염 예방
• 군인, 경찰, 소방관: 외상 빈도 높은 직군
• 농어업 종사자, 건설 근로자: 상처 위험 높은 직업군


728x90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