대장내시경의 주요합병증

2025. 6. 28. 03:26건강

728x90
반응형

대장 내시경은 대장을 내시경으로 관찰하며 용종이나 병변을 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검사입니다. 일반적으로는 안전한 검사이지만, 드물게 다음과 같은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 대부분은 경미하거나 일시적이지만, 일부는 심각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.



🔍 대장 내시경의 주요 합병증

1. 출혈 (Bleeding)
• 원인: 용종 절제술(폴립 제거), 조직 생검(조직 일부를 떼어냄) 후 발생 가능
• 빈도: 약 1,000건 중 1~6건 정도에서 발생
• 증상: 검사가 끝난 후 선홍색 혈변, 혈흔 섞인 변, 어지러움 등
• 대처법:
• 대부분은 자연적으로 멈추며, 출혈이 계속되면 내시경 재삽입 후 지혈 조치
• 드물게 입원, 수혈, 응급수술이 필요할 수도 있음



2. 장 천공 (Perforation)
• 원인: 내시경 기구가 장벽을 뚫는 사고. 특히 장벽이 약해진 경우(염증성 장질환, 고령자) 위험 증가
• 빈도: 약 1만 건 중 1~2건
• 증상:
• 복통, 복부팽만, 열, 구토, 어깨 통증(복막 자극)
• 증상이 즉시 나타나지 않고 몇 시간~1일 뒤 나타날 수도 있음
• 대처법:
• 소규모 천공: 금식, 항생제 투여 등 보존적 치료
• 큰 천공: 응급수술이 필요할 수 있음



3. 과도한 가스 주입에 의한 복부 팽만감, 불편감
• 원인: 장을 확장시키기 위해 주입한 공기 또는 이산화탄소
• 증상: 검사 후 배에 가스 찬 느낌, 통증, 트림, 복부 불편감
• 대처법:
• 자연적으로 배출되며 회복
• 이산화탄소 사용 시 더 빠르게 흡수됨 → 최신 장비에서는 이산화탄소 사용을 선호



4. 약물에 의한 부작용 (진정제, 진통제 등)
• 진정내시경을 하는 경우, 약물 반응으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음
• 증상:
• 호흡 억제
• 저혈압, 어지럼증
• 알레르기 반응 (드물게 아나필락시스)
• 대처법:
• 내시경실에서는 산소 공급, 심전도 모니터링 등 대비가 되어 있음
• 회복실에서 관찰 후 퇴실 가능



5. 장염, 감염 가능성
• 위험도: 매우 낮음
• 원인: 내시경 소독이 충분하지 않거나, 장내 정상균총이 변화될 때
• 증상: 검사 후 설사, 발열, 복통
• 대처법: 대부분 수일 내 회복. 증상이 심할 경우 항생제 처방



6. 심혈관계 반응
• 검사 중 긴장하거나 진정제의 영향으로 혈압 상승/하강, 부정맥 발생 가능
• 특히 고혈압, 심장병, 뇌졸중 병력자는 사전 의사 상담 필요



7. 기계적 손상
• 항문 열상 또는 점막 찰과상: 삽입 시 발생 가능
• 대부분 경미하며 자연 회복되지만, 통증이나 출혈 동반 시 치료 필요



🧾 합병증 발생 가능성을 줄이려면?

✅ 대장 내시경 후 주의해야 할 증상

검사 후 다음과 같은 증상이 있다면 즉시 병원에 문의 또는 응급실 내원하세요.
• 배가 심하게 아프고, 시간이 지나도 좋아지지 않음
• 열이 남
• 혈변이 계속됨
• 어지럽고 식은땀이 남
• 호흡이 이상하게 느껴짐



📌 결론

대장 내시경은 조기 대장암 발견 및 치료, 용종 제거 등에서 매우 효과적인 검사입니다. 합병증은 드물게 발생하며, 대부분은 경미하거나 의료진의 조치로 잘 해결됩니다. 하지만 검사를 받는 환자도 증상을 인지하고 적절히 대처할 준비가 필요합니다.

검사 전에는 반드시 담당 의사와 충분한 상담을 하시고, 검사 후에는 안정 취하면서 몸의 반응을 잘 관찰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.


728x90
반응형